예, pH와 전도도는 관계가 있지만, 선형적이거나 절대적이지는 않습니다.
pH 센서는 용액 내의 H+에만 반응하는 반면, 전도도의 경우 센서는 용액 내에서 전하를 띤 모든 이온(음이온 및 양이온)의 활성도를 측정합니다. 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전도도가 높아집니다.
또한 이온의 이동성은 전도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. 용액 내에서 일반적인 이온 중 가장 이동성이 높은 양이온은 수소 이온[H+]으로 그 값이 350 단위이고, 가장 이동성이 높은 음이온은 수산화 이온[OH-]이며 그 값은 199 단위입니다. 그 외의 일반적인 이온은 값이 40 ~ 80 단위입니다. 즉, 산성이 강한(또는 염기성이 강한) 용액은 전도도가 높습니다. pH는 수소 이온 농도의 척도이므로 다음 규칙이 적용됩니다.
- 산성 용액(< pH 7): pH가 낮을수록(즉, H+ 농도가 높을수록) 전도도가 높습니다.
- 알칼리성 용액(> pH 7): pH가 높아지면(OH- 이온 증가) 전도도가 높아집니다.
- 중성 pH(pH 7)는 H+ 및 OH- 이온의 농도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. 하지만 용액의 전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이온이 용액에 전혀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.
예: 탈이온수의 pH는 이론적으로 7.0이며 전도도는 0.055 µS/cm입니다. 여기에 NaCl 소금을 첨가한 이후 NaCl 용액은 여전히 pH가 중성이지만, 용액의 전도도는 첨가된 NaCl의 양에 따라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.
요약: 샘플의 pH와 전도도는 샘플 각각에 대해 별도로 측정해야 하며 이론적으로 상호 연관시킬 수 없습니다.